MAMF(맘프)

경남몽골(Mongolia)교민회 Community

hail국내 몽골 이주민 현황

- 국내 거주 36,813명(행정안전부 2019.11.30. 기준 통계)
- 경남 거주 1,375명
- 이주 유형: 비전문취업, 국제결혼

directions_walk교민회 연혁·활동

2000년대 초 교민 공동체를 조직하여 활동
2008. 11 경남이주민연대 대표단으로 봉하마을 노무현 전 대통령 방문
2009. 5 경남이주민연대 대표단으로 고 노무현 대통령 추모
2010 ‘게르’ 공수(이후 MAMF 축제에서 몽골의 상징물로 자리 잡음) 
2010~2020 MAMF(맘프) 축제 참가
2012. 11 ‘톨가협의회’(톨가: 난로라는 뜻. 여성 교민들의 친목 자치 모임) 결성
2013 톨가협의회, 전통춤 세르겔렝 강습 활동. 한국여성재단 이주여성커뮤니티 희망날개-다문화여성커뮤니티 지원사업에 선정
2014. 9 경남몽골교민회로 재출범(현 공동대표: 개릴마, 엘데느브레그, 현 회원 170여 명, 역대 교민회 주요 활동가: 이정희, 달라이)
2016~2019 이주민과 함께하는 자국 음식잔치 개최
2016. 3 세계여성의날 기념 축하 파티 
2016 자국민을 위한 찾아가는 영사 업무 서비스, 초청주관
2017. 1 새해 기념 몽골 가수 초청 공연
2018. 5 교민회, 경남이주민센터 창립기념 청소 봉사
2019. 3 세계여성의날 경남대회 주최(각 교민회 초청, 이정미 정의당 대표 참석)
2019. 8 아베 정부의 한국 화이트리스트 등재 철회촉구 및 일본제품 불매운동 선언
2021 몽골어 책 모으기 운동 추진, 창원다문화어린이도서관에 도서 기증
2021. 2 미얀마 군부 쿠데타 규탄 성명서 발표
2021. 5 이주노동자 주거권 촉구 노동절 성명서 발표
2021. 8 차별 없는 재난지원금 지급 촉구 성명서 발표
2021. 9 MAMF(맘프)2021 이주민 홍보단 활동
2022. 5 몽골 교민회 어린이날 행사 (로봇랜드)
2022. 5 몽골 나담 축제 기획 회의
2022. 7 몽골 나담 축제
2022. 7 몽골 자국 음식 잔치
2022. 8 몽골 교민회 농구 대회

menu_book주요 활동

- 인권 운동 세계노동절 성명서 발표
- 자치 활동 전국농구대회, 자국 설날 축제, 나담 축제, 자국 송년행사, 국군의 날, 세계여성의 날, 설날맞이, 여름캠프, 송년한마당, 추석한마당, 산업안전교육, 이주민 운전자교육(창원서부서 주최), 이주노동자 실태조사, ‘테마가 있는 도서관-몽골’(창원다문화어린이도서관 주최 나라별 문화 체험 프로그램), 외국인 주민 일일 경남투어(경상남도 후원), 코로나19 방역 협조, 백신 접종 홍보
- 연대 활동 미얀마 민주주의 지원 모금, 미얀마 상황을 SNS에 공유, ‘일요시위’에 참석하여 미얀마 민주주의 연대 발언

ballot특징

- 몽골인 특유의 가족 같은 결속력을 통해 교민 간 연대를 구축
- 사회적 거리두기 체제 이후 온라인 비대면 모임으로 전환
- 10여 년 전부터 몽골 이주민이 센터 활동가로 일하며 교민회의 탄탄한 성장을 이끎

people_outline주요 인물

- 벌드 수흐 중도입국 청소년 출신, 어린 나이에 부모와 이주하여 언어와 문화가 다른 환경을 이겨내고 탁월한 운동 능력으로 한양대에 입학하여 농구팀 핵심 선수로 활약하였으며 현재 전주 KCC프로팀 소속으로 활동 중




각 나라의 SNS로 이동